[React] 리액트 프로젝트 시작 (누구든지하는 리액트3편 공부정리)
728x90
반응형
* velopert.com/3626 에서 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공부해 정리했습니다.
react를 작성하다보면 조건에 따라 다른 부분을 리턴하도록하는 경우가 많다
자주 사용하는 방법은 1. 삼항연산자 2. &연산자이나 다른 방법이 궁금했는데 즉시실행함수를 사용하면 가능하다
{ }안에 조건에 따라 다른 jsx를 리턴하도록 해준다
import React from "react";
const App = () => {
const value = 1;
return (
<div>
{(function () {
if (value === 1) return <div>1</div>;
if (value === 2) return <div>2</div>;
if (value === 3) return <div>3</div>;
})()}
</div>
);
};
export default App;
switch 문이나 화살표함수를 써도 된다 (this, arguments, super 개념이 없는 익명함수)
(() => {
if (value === 1) return (<div>하나</div>);
if (value === 2) return (<div>둘</div>);
if (value === 3) return (<div>셋</div>);
})()
stye을 설정할 때 스타일 객체를 넣어주는 경우에는 camelCase로 속성이름을 써준다
import React from "react";
const style = {
width: "100vw",
height: "100vh",
background: "black",
padding: "16px",
color: "#fff",
fontSize: "28px",
display: "flex",
justifyContent: "center",
alignItems: "center",
};
const App = () => {
const value = 1;
return <div style={style}>style test</div>;
};
export default App;
728x90
반응형
'React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리액트 undefined처리 방법 (누구든지하는 리액트5편 공부정리) (0) | 2020.10.21 |
---|---|
[React] react (props와 state) (누구든지 하는 리액트 4편 공부정리) (0) | 2020.10.20 |
[React] 리액트란 (누구든지하는 리액트 1편 공부정리) (0) | 2020.10.19 |
React의 Virtual DOM에 대해 알아보자 (0) | 2020.09.28 |
[React] setState 함수형으로 사용하기 (0) | 2020.09.21 |
TAGS.